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과 만기금액(ft.이자&중도해지)

청년희망적금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국가에서 청년층의 저축 장려와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자산관리를 형성하기 위해 저축장려금을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가지고 궁금해 하는 점들인 신청방법,조건,이자,만기금액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수령금액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만기시 수령금액과 이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은행별로 1%의 우대금리를 더 추가해 주기 때문에 개인별로 납입금액에 따라 다르겠지만 기본 금리 5%를 가정하면 월 최대 납입액 50만원을 2년동안 납입하였다고 예를 든다면 아래와 같은 이자를 지급 받게 됩니다.

최대 납입액 1200만원을 납입하였다고 가정하면 2년후 최대 1,110,000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총 수령금액은 내가 납입한 1200만원+이자를 더하면 총 13,1110,000원을 만기시 수령금액으로 받으실 수 있답니다. 이는 대략 연이율 10%가 넘는 수치로 놓치기 아까운 투자기회임에는 틀림이 없어 보입니다. 요즘 시중에는 연이율 5%이상의 적금 및 예금도 찾기 어려운 현실임을 감안해 봐도 청년희망적금의 높은 이율과 혜택을 가늠해 보실 수 있으실꺼에요.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 및 기간

청년희망적금은 국가에서 청년들에게 제공하는 제도로 1금융권 11개이상의 은행이 동참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취지에 맞게 11개 은행의 앱에서 확인하고 가입가능 여부를 은행별로 받아 보실 수 있답니다.

  • 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하나은행,기업은행,농협,부산은행,대구은행,광주은행,전북은행,제주은행

하지만 이렇게 좋은 제도이지만 모든 청년들을 지원해 주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신청을 받아 선착순으로 운영 되고 있답니다. 2023년도에는 2월21에서 2월25일까지 신청을 받았고 이미 신청이 완료 된 상태입니다.올해 기회를 놓치신 분들은 내년을 기약해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조건

청년희망적금 가입일 기준으로 만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청년이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병역이행기간은 산입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총급여가 3,600만원이하인 분들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

쿠팡 배너
X